변용국

R.F.I.M Acrylic on paper 91x102cm 2016

변용국

   변용국 (Byun Yong Kook)

 

변용국의 그림은 주어진 사각형의 캔버스, 대부분 장방형의 화면 위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니까 그의 회화적 행위는 우선적으로 사각형 안에서 이루어지고 사각형의 평면을 해석하는 일이자 그 내부를 연출하는 일이다. 작가로서의 자신의 근거는 주어진 화면의 근거와 동일시된다. 그림을 그리는 작가란 존재는 모두 그 사각형의 화면 안에서만 살 수 있다. 평면의 화면이 결국 그림이고 회화의 존재론적 조건이 된다. 제 스스로 자기의 존재에 대한 근거가 되는 것을 자기 근거self-foundation라고 하는데 회화에서는 주어진 평면이 자기 근거가 되는 셈이다. 변용국은 주어진 레디메이드 캔버스 대신에 두꺼운 패널 위에 천의 씌워 만든 두께/높이가 있는 캔버스를 사용한다. 그것은 일종의 오브제와 같은 느낌을 주며 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자립함으로써 견고한 사물과 같이 자립해서 정면과 측면 모두를 드러내며 부풀어있다. 그것은 화면/그림이자 액틀이기도 하고 벽에서 돌출되어 다가오는 물질(조각, 오브제)이 되기도 한다. 우선 작가는 화면의 표면을 두터운 물감의 층으로 덮어나가거나 메워나간 흔적으로 마감하고 있는데 그 피부가 상당히 다채로운 질감의 층으로 얼룩져있다. 그것은 일종의 상처나 흔적이고 몸짓이고 동시에 그림을 이루는 물질의 자취이자 최소한의 그림을 그림이게 하는 장치이기도 하다. 그것은 시각적인 동시에 촉각적이고 조각적/부조적 이기도 하다. 단색의 색을 머금은 물질이 비균질적으로 칠해지거나 특정 도구를 사용해서 긁어낸 수평, 수직의 선으로 인해 밀려난 물감의 살이 일정한 결을 이루며 풍부한 표정을 짓고 있다. 또한 그것은 무한히 반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동시에 색상의 변화가 화면 안에서 자연스레 원근법을 이루면서 사라졌다 하기를 반복한다. 흐리고 연한 색상에서 진하고 강한 색상의 층 차 사이에서 무한한 반복을 거듭하는 화면이다. 오로지 색채와 물감, 물질만으로 이루어진 화면이 기이한 이미지를 연상시키고 묘한 원근감을 자극하면서 희한한 깊이와 정신적인 고양을 상승시키는, 다소 신비스럽고 무한함을 안기는, 종교적인 느낌을 자극하는 그런 화면이다.오랜 시간 색을 바르고 칠해나가는 반복의 행위는 다름 아닌 물입의 행위이다. 그것은 반복, 집중, 명상과 같은 치유적인 그리기이자 다분히 수행적 측면을 깔고 있다. 작가는 그 결과로서 드러나는 미묘한 색의 울림에 매료되었다고 한다. 그 색의 울림은 빛을 만들어내고 무를 만들고 모든 것을 지우고 다시 생성시키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것은 없음의 화면이 아니라 있음에서 없음으로 나가고 없음에서 있음으로 이동하는 생성적인 화면이자 무엇인가가 움트는 화면이다. 그 움틈은 어두움에서 밝음으로 나아가는 것과도 같은 색의 계조로 그리고 융기되는 자잘한 점들의 촉각성으로 인해 더욱 고양된다. 또 다른 작업은 볼펜 선으로 작은 동그라미를 반복해서 연결해 그려나간 드로잉과 점을 반복해서 찍어나간 붓질의 무수한 반복만을 보여준다. 농담의 변화를 동반해서 붓직의 몸체를 그대로 압인하고 있는 그 흔적은 그림의 본질적인 수단, 매체의 환원적인 요소를 확인하면서 그것만으로 화면을 채워나가고 있다. 다만 그 붓질, 점은 색상을 달리하며 주어진 화면, 그러니까 그림의 존재론적 조건 아니에서 자신의 생애를 무한히 반복, 순환하고 있는 편이다. 생각해보면 변용국의 회화와 드로잉은 회화의 조건인 화면/평면이자 사각의 틀 안에서 기본적인 그리기와 칠하기의 생생하고 원초적인 흔적, 몸짓을 안겨준다. 그리고 그것이 무한히 반복된다는 영원성, 시간의 한정 없음을 깨닫게 해준다. 캔버스에 물감을 칠하고 이를 반복해서 긁어나가기를 무한히 반복하거나 볼펜으로 매우 작은 원형을 한정 없이 연결시켜 그려 나가거나 또는 화면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또는 그와 반대로 상단에서 하단까지 색상의 계조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저 아득한 곳으로 몰아가거나 무한으로 빠져나가게 해서 정작 망막에 아득함, 막막함을 안겨주는 듯한 그림이 변용국의 그림이다. 따라서 그의 그림은 반복과 지속, 혹독한 그리기의 수행과정을 통해 정작 그 모든 것을 무로 돌려버리는 듯한 분위기로 가득하다. 보는 이의 눈을 멀게 하는 화면을 통해 결국 자신의 내부를 관조하게 하고 보이지 않는 것들, 비시각적인 것을을 상상하게 해주고 그것을 깊이 있게 사유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변용국의 화면이자 그의 회화라는 얘기다.

 

변용국1

R.F.I.M Oil on canvas 61x76cm 2016

 

변용국2

R.F.I.M Oil on canvas 61x76cm 2016

 

변용국3

R.F.I.M Oil on canvas 81.5x122cm 2017

 

변용국4

R.F.I.M Acrylic on paper 91x102cm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