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Sep. 임승현

전시 기간: 2025.9.10 ~ 10.4

Seung Hyun Lim

가꿔주는 생활

2025. 09. 10 – 10. 04

2448아트스페이스 II관

임승현_프로필_202502_01

무해한 것이 우리를 구원할 거야

임승현 초대전 <가꿔주는 생활>

  1. 9. 10 – 10. 4

글|박지현 (2448아트스페이스, 갤러리스트)

 

2448아트스페이스는 9월 10일부터 10월 4일까지 임승현 초대전 <가꿔주는 생활>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2022년 2인전 이후 본 갤러리와 함께하는 첫 개인전이자, 여러 차례의 단체전을 통해 맞춰온 호흡을 바탕으로 더욱 깊어진 작가의 세계를 보여준다.

 

무해함과 다정함의 윤리

오늘날 우리는 ‘무해함’이 특별한 덕목이 된 시대를 살고 있다. 경쟁과 불안과 욕심이 일상이 된 사회에서는 누군가가 농담처럼 내뱉는 “해치지 않아요”라는 말이 긴장을 풀어주는 안심 신호가 된다. 바로 이 지점에서 임승현의 작업은 출발한다.

그의 작품 속 인물들은 목소리를 높이거나 억지스럽게 주장하지 않는다. 다만 입을 다문 채 다정히 응시할 뿐이다. 무표정에 가까운 얼굴은 차갑지 않고, 오히려 “세상을 억지로 바꾸지 않으려는” 의지마저 느껴진다. 전시 제목이자 작가의 지속적인 화두인 ‘가꿔주는 생활’에서는 작가가 세상을 대하는 태도의 온도가 느껴진다. 그에게 있어 ‘돌봄’이란 억지로 다듬으려 애쓰는 것이 아니다. 억압하지 않음으로써 비로소 이루어지는 풍요로움과 조화. 화면 속 존재들은 각자의 경계를 지키며 저마다의 모습으로 자라나고, 그렇게 모여 하나의 풍경을 만든다.

 

애쓰지 않는 돌봄, 동행, 생명의 발견

이번 전시의 중심을 이루는 〈농사의 신〉 연작은 작가가 직접 농사를 지으며 얻은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초보 농사꾼의 서툰 손길에도 꿋꿋이 자라나는 작물들은 그에게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깨달음을 안겨주었다고 한다. 그림 속 농부가 들어 보이는 옥수수와 토마토, 홍당무는 소박하지만, 그의 눈빛에는 자랑스러움과 애정이 가득하다. 본연의 모습 그대로 자란 작물들은, ‘스스로 그러한 것들’, 즉 자연 그 자체가 되어 화면을 가득 채운다.

한편 〈Pilgrim(순례자)〉 연작은 훨씬 단순화된 구성을 통해, 인생이라는 긴 여정을 은유한다. 앞날을 알 수 없음에도 묵묵히 내딛는 걸음과 그 곁을 지키는 강아지. 어린 시절 함께 했던 반려견의 기억은 인생이라는 여정을 함께 걷는 동행의 가치를 환기한다. 특히 흙을 연상시키는 겨자색 배경을 바탕으로 소와 말, 곰과 당나귀 등 다양한 동물들 나란히 한 방향으로 걸어가는 장면은 기후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공생의 중요성을 일깨우며 특별한 감동을 준다.

〈꽃개〉와 〈묘화〉에는 만개한 꽃과 네잎클로버 한가운데 자리한 반려동물의 얼굴이 등장한다. 사랑을 하는 이는 만물 속에서 아끼는 대상의 모습을 발견하기 마련이다. 작가는 작은 식물 한 포기와 반려동물의 모습으로부터 동일한 생명의 본질을 포착해낸다. 영원히 빛날듯, 사그러들지 않는 생명력이 화폭을 밝힌다.

임승현은 이러한 이야기를 한지와 과슈라는 재료로 풀어낸다. 오랜 실험을 통해 한지의 물성을 깊이 이해한 작가는 전통지 위에 서양의 재료를 얹으며 독특한 질감을 만들어낸다. 그리하여 화면은 때로는 파스텔처럼 부드럽고, 때로는 덜 마른 회벽화나 동굴화를 떠올리게 한다. 또한 물감을 두텁게 쌓지 않고, 비원근법적 구성을 택하여 철저하게 평면성을 고수함으로써 원시적인 투박함과 현대적인 세련미를 함께 품는다.

 

무해함이 우리를 구하는 상상

이번 전시에 소개되는 여러 연작들은 일관되게 따뜻하고 다정한 정서를 전달한다. 이는 생명을 돌보고 수확을 경험해본 이, 동행의 가치를 아는 이만이 전할 수 있는 감각이다 “부드럽고 약한 것이 굳세고 강한 것을 이긴다”는 노자의 말을 굳이 인용하지 않더라도, 임승현의 작업은 파괴하지 않고도, 해치지 않고도 함께 풍요로울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리하여 작품 앞에 선 이들 역시 다시 한번 상상력을 발휘해보게 된다. – 무해하고 다정한 것들, 서로를 어르는 것들이 세상을 구하는 모습을 말이다.

 

임승현, 묘화03, 53x45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묘화03, 53x45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꽃, 50x50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꽃, 50x50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Pilgrim04, 90.9x72.7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Pilgrim04, 90.9×72.7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농사의 신, 116.8x91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농사의 신, 116.8x91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농사의 신, 193.9X130.3cm, 한지에과슈2025

임승현, 농사의 신, 193.9X130.3cm, 한지에과슈2025

임승현, Pilgrim, 03, 90.9x72.7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Pilgrim, 03, 90.9×72.7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묘화02, 90.9x72.7cm, 한지에 과슈, 2025

임승현, 묘화02, 90.9×72.7cm, 한지에 과슈, 2025

임승현, 농사의신, 120X40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농사의신, 120X40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Play02, 116.7x91, 한지에과슈, 2024

임승현, Play02, 116.7×91, 한지에과슈, 2024

임승현, Pilgrim, 100x100cm, 한지에과슈, 2024

임승현, Pilgrim, 100x100cm, 한지에과슈, 2024

임승현, Into the tree, 53x45.5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Into the tree, 53×45.5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꽃, 53x45.5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꽃, 53×45.5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꽃개02, 53X45.5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꽃개02, 53X45.5cm, 한지에과슈, 2025

임승현

임승현 Seunghyun Lim

b.1973

나의 그림에는 인물이 많이 등장한다.

인물을 소재로 한 그림이라면 관찰자의 입장에서 그들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림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과장된 표현과 어린아이 같은 얼굴을 하고 있다. 나

의 그림이 미미하고 순간적이겠지만 그 선함을 이끌어 낼 수 있기를 소망한다.

– 작가 노트 중

임승현_프로필_202502_01

감상과 감동의 경계는 어디쯤일까. 감상이 표피적 울림이라면 감동은 감정의 내부까지 파고드는 진한 울림이라고 할 수 있다.

임승현의 그림을 보면 그의 작품은 감상 쪽으로 기운다.

임승현의 작품은 기법이나 재료가 특별하지 않지만 그의 작품을 본 사람은 그 이미지를 쉽게 떨치지 못한다.

임승현의 그림은 울림은 약할지 몰라도 지워지지 않는다. 서정의 힘 때문이다.

그의 그림 대부분은 특별한 설명 없이도 쉽게 이해되고 누구에게나 감정의 잔잔한 파문을 일으키며,

솔직하고 성실한 성정을 지닌 그는 복잡한 세상 속에서 회화가 감당해야 할 부분에 대해 분명한 소신을 가지고 있다.

현학적 수사보다는 쉽고 확실한 언어가 힘이 세다는 사실을 알고,

평범한 사람들의 소박한 이야기를 주제 삼는 임승현은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감을 주는 그림’이 자신 회화의 목표라고 말한다.

오랜 시간 단련해 얻은 드로잉의 힘과 일상의 이야기를 변주해 일궈내는 그림을 연출해 낸다.

– 전준엽 (미술평론/비즈한국 아트 에디터) 평론 중..


수원대학교 미술대학 한국화과 졸업

수원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졸업

현) 수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대학원 객원교수

개인전

2024. Pilgrim, 아르떼케이(서울)

2024. My Private Garden, GS타워 더스트릿갤러리(서울)

2023. My Private Garden, 아르떼케이(서울)
2022. ‘Catch the rainbow’ 갤러리H(서울)
2022. 갤러리숲(김포)
2021. ‘Catch the rainbow’ -써포먼트 갤러리
2020. ‘가꿔주는 생활’ -써포먼트 갤러리
2019. ‘Daydreamer’ -LJA 이정아 갤러리
2019. ‘도형을 닮은 사람들’ -유나이티드 갤러리
2018. ‘Extra’ -써포먼트 갤러리
2018. ‘Spaceman’ -소허당 갤러리
2017. ‘도시소경’ -8street 갤러리
2016. ‘수줍은 아저씨의 꽃 넥타이’ -‘소허당 갤러리’
2012. ‘Falling slowly’ -갤러리 IS
2010. ‘숨은그림찾기’ -갤러리 IS
2001. ‘넥타이 블루스’ -한서갤러리

아트페어 및 국내, 외 단체전
2023. A chacun sa toile, (갤러리M9/서울)
2023. Affordable artworks-행복한 그림전(맥화랑/부산)
2022. Connecting memories (유나이티드 갤러리/서울)
2022. 화랑미술제 (SETEC/서울)
2022. BAMA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 (BEXCO/부산)
2021. Urban Break (Coex/서울)
2021. What a Lovely day (토포하우스/서울)
2020. Castor Pollux (써포먼트 갤러리/서울)
2020. KIAF 2020′ Korea International Art Fair(On Line)
2020. 한국미술응원 프로젝트 (예술의전당/서울)
2019. Seoulism-Glovalization of Seoul Contemporary art
(Korea Culture Center/Chicago, USA)
2018. 임승현, 정영환 2인전 (DGB갤러리/대구)
그 외 국내, 외 단체전 250여회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수원대학교 고운미술관, SM엔터테인먼트, 나인블럭, 유나이티드 문화재단 등 다수

방송
TV조선 ‘이웃집화가’
KBS ‘TV동화 행복한 세상’

임승현, Catch the rainbow, 62x62cm, 한지에과슈, 2022

임승현, Catch the rainbow, 62x62cm, 한지에과슈, 2022

임승현, Daydreamer, 53x45.5cm, 한지에과슈, 2022

임승현, Daydreamer, 53×45.5cm, 한지에과슈, 2022

임승현, Ready to get off, 116.7x91, 한지에과슈, 2022

임승현, Ready to get off, 116.7×91, 한지에과슈, 2022

임승현, The best wine, 53x33.4cm, 한지에과슈, 2022

임승현, The best wine, 53×33.4cm, 한지에과슈, 2022

임승현, 가꿔주는생활, 50x50cm, 한지에과슈, 2022

임승현, 가꿔주는생활, 50x50cm, 한지에과슈, 2022

임승현, 가꿔주는생활, 지름60cm, 한지에과슈, 2022

임승현, 가꿔주는생활, 지름60cm, 한지에과슈, 2022